ㅡ
공휴일궤(功虧一 )
功:공 공. 虧:어지러질 휴. 一:한 일. 궤:삼태기
궤(竹+貴)
공(功)이 한 삼태기로 허물어졌다.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높은 산을 쌓지 못하게 되다. 마지막 한 대목을
게을리 함으로써 힘들여 쌓아온 공적이 수포로
돌아가다. 즉 사소한 방심으로 거의 완성된 일이
무산되어 버리는 것.
유래 : 《서경(書經)》〈여오편(旅獒篇)〉에 나오는 이야기로,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 왕조를 연 무왕(武王)에게는
사방에게서 진귀한 공물(貢物)이 모여 들었다. 그
가운데서도 여(旅)나라에서 보내온 키가 4척이나 되고
사람의 말을 알아듣는 신기한 개 한 마리가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무왕도 이 개가 마음에 쏙 들었다.
그는 낮이건 밤이건 이 개가 잠시라도 눈에 띄지
않으면 마음이 편하지 못할 정도였다. 이를 보다못해
무왕의 아우이자 대신인 소공(召公) 석(奭)이 그런
기이한 동물에 마음을 빼앗겨 국정을 소홀이 하고
있는 무왕에게 간(諫)하는 시를 썼다.
嗚呼 夙夜罔或不近(오호 숙야망혹불근)
아아, 아침부터 밤까지 조금도 부지런함이 없어서는
안되나니
不矜細行 終累大德(불긍세행 종루대덕)
조그만 일이라도 신중히 하지 않으면 큰 덕에 누를
끼치게 되리
爲山九刃 公虧一궤(위산구인 공휴일궤)
아홉길의 산을 만들면서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무너진다네.
다시 말하면 임금은 아침 일찍부터 밤
늦게까지 언제나 덕을 닦지 않으면 안되며 사소한
일이라고 해서 삼가지 않으면 마침내 큰 덕까지도
더럽히게 된다는 게 소공이 하고 싶은 말이었다. 또
소공은 힘들여 이룩해놓은 주왕조 창업을 위한
여태까지의 공적이 진귀한 한 마리의 개에게 마음을
빼앗김으로써 나라의 토대가 무너지고 만다는 것을
경고한 것이다.
예를 들어 흙을 가져다가 산을 만드는데, 이제 조금만 일을 계속하면 아 홉 길 높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이제는 다 되었다 하고 한 삼태기의 흙 운반하기 를 게을리 하게 되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모두
허사가 되고 만다.'라고 했다는 것 이다.
이와 같은 말은 공자도 했다. 《논어(論語)》〈자한편〉에 보면,
'비유하자면 그것은 마치 산을 만드는 것과 같다. 비록 한 삼태기로 이루지 못했더라도 그만둔
것은 내가 그만둔 것이 아니겠는가 '라고 나와 있다.
《맹자》〈진심편〉 상(上)에 맹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어떤 일을 하는 것은 비유하면 우물을 파
는 것과 같다. 우물을 아홉 길을 파 들어가다가 샘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그만두면 그것은 우물을 버린
것과 같다. 한 삼태기의 흙만 더 파내면 샘이 솟아나게 되어 있더라도, 거기까지 계속하지 못하고 그만 두면
아홉길을 파 내려간 지금까지의 노력을 포기한 거나 다름이 없으니, 그야말로 공휴일궤가 아닐 수 없다. 무슨
일이 라도 끝을 내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